-
사업자등록번호로 진짜 농부 확인하는 방법워라벨/전지적 주부시점 2021. 11. 2. 18:14
●●● - ●● -●●●●●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만 보아도 개인, 법인, 지역, 농부 등 상당히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그럼 여기서 진짜 농부를 어떻게 가려내야하나?
1. 앞 3자리
●●● - ●● -●●●●●
<관할세무서 지역코드> : 사업장의 위치에 소재한 관할 세무서의 지역코드
2. 중간 2자리(시간이 없다면 이 부분만 확인)
●●● - ●● -●●●●●
<개인과 법인 성격 코드>
01~79 : 개인 과세사업자(일반, 간이)
90~99 : 개인 면세사업자
89 : 개인으로 보는 단체 중 종교단체
81,86,87 : 법인(영리)의 본점
82 : 법인(비영리)의 본점 및 지점, 법인으로 보는 단체 포함
83 : 국가, 지방자치단체
84 : 외국법인의 본점 및 지점
85 : 법인(영리)의 지점
농산물을 직접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은 본디 부가가치세가 면세 되는 면세사업이다. 그래서 일반 농산물을 구매할 때 농부의 산지에서 직송이라는 표현있다면 꼭 개인면세사업자 번호가 맞는지 확인해야한다.
100%는 아니지만 그렇지 않다면 도매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가격은 더 높아지고, 농산물의 질도 더 떨어지게 된다. 마치 직접 농사를 짓는 것처럼 위장하는 경우가 많다.
구매 전 사업자번호와 더불어 주소까지 확인하시어 네이버나 다음지도에 로드뷰까지 보아 상세한 확인을 하시는 게 좋다.
양봉을 예로 들면 양봉업자의 주소지가 민가와 붙어 있다든지, 보관창고처럼 큰 하우스나 집이 있다든지 한다면, 직접 양봉을 하는 업자가 아니다. 도매업자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모르는 분들을 위한 팁을 하나 주자면 벌은 탈분, 즉 응가를 하게 되는데 이는 노랗고 길게 공중에서 변을 보게 된다. 겨울철 월동을 하고 나서 봄에 벌들이 밖으로 나와 제일 먼저 하는 일이다.
각종 빨래, 자동차... 벌통 반경 200m 이내는 그 탈분으로 초토화된다. 특히나 탈분이 말라버린다면 잘 지워지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민가 옆에서 이런 민원은 엄청나게 된다. 결국 민가 인근에서는 양봉을 절대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지도와 더불어 해당양봉장 주소지를 꼭 확인해보아야 한다.
3. 마지막 5자리 중 앞 4자리
●●● - ●● -●●●●●
<등록일자, 지정일자순 일련번호>
사업자별로 등록, 지정일자 순서로 번호를 0001~9999로 부여한다. 비영리법인의 본지점은 0001~5999, 법인단체는 6000~9999로 부여된다.
4. 마지막 5자리 중 뒤 1자리
●●● - ●● -●●●●●
<시스템 오류 검사 번호>
전산시스템에 의하여 사업자등록번호의 오류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여된 숫자반응형'워라벨 > 전지적 주부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축하선물] 베베쿡 핑크박스 당첨 후기 (1) 2021.11.06 마마루 에그 휴대용 아기침대, 신생아 실제 사용기 (0) 2021.11.05 컴퓨터 부팅시 오류(usb)로 인한 해결팁 (2) 2021.11.01 면단위 산골 인터넷 연결 이야기(무선 라우터 설치) (1) 2021.10.31 뉴발란스 신발 327(MS327HR1) 리뷰, 사이즈 선택 Tip (0) 2021.10.30